2024년 04월 26일 금요일

  • 서울 18℃

  • 인천 19℃

  • 백령 14℃

  • 춘천 17℃

  • 강릉 24℃

  • 청주 18℃

  • 수원 19℃

  • 안동 17℃

  • 울릉도 16℃

  • 독도 16℃

  • 대전 18℃

  • 전주 18℃

  • 광주 18℃

  • 목포 16℃

  • 여수 17℃

  • 대구 18℃

  • 울산 18℃

  • 창원 18℃

  • 부산 17℃

  • 제주 16℃

빨라진 대기업의 사고 수습··· 이유 있었다

빨라진 대기업의 사고 수습··· 이유 있었다

등록 2014.02.26 16:59

최원영

  기자

“찍히면 죽는다”··· 反대기업 정서 속 ‘몸사리기’

빨라진 대기업의 사고 수습··· 이유 있었다 기사의 사진


최근 발생한 대형 사고들에 대기업들이 주도적으로 책임을 지고 사태수습과 보상에 열을 올리는 등 예전과 다른 모습을 연출하고 있다. 대기업 오너가 다급하게 현장으로 달려와 ‘엎드려 사죄’하는가 하면 과실여부를 떠나 선보상을 약속하기도 했다.

반(反) 대기업 정서 속에 타깃이 되지 않으려는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이미지 타격에 의한 손실이 기업의 위기로 까지 연결되는 현실 속에서 기업의 ‘위기관리’와 ‘책임경영’이 점점 강조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웅열 코오롱그룹 회장은 지난 17일 밤 급하게 경주로 향했다. 이날 저녁 코오롱이 운영하는 경주의 마우나리조트 체육관 지붕이 무너져 대학교 신입생 환영회 중이던 학생과 이벤트 회사 직원이 사망하는 등 대규모 사상자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이 회장은 사고 현장에서 상황을 보고받고는 이튿날 오전 6시 현장에서 ‘엎드려 사죄드립니다’라는 제목의 사과 성명을 발표했다. 대기업 회장이 직접 현장에서 진두지휘하며 사건 수습에 동분서주했고 사망자 유족들과의 보상도 일사천리로 진행됐다. 부상자 전원에 대한 피해보상까지 진행 중이다.

코오롱측의 상황 발표는 온통 사망자와 피해자에 대한 사과와 보상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내용이 빼곡하게 채워졌다. 심지어 이 회장은 자신의 사재를 털어서까지 보상하겠다고 나섰다.

지난달 31일 싱가포르 국적 유조선 우이산호가 GS칼텍스의 부두 송유관과 충돌해 원유 16만4000ℓ가 유출된 사건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다.

GS칼텍스는 자신들도 피해자이지만 사고 책임여부를 떠나 기름 유출로 피해를 입은 지역주민들에게 보상과 더불어 사태수습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허진수 GS칼텍스 대표이사 부회장도 방제작업에 참여한 주민들에 총 20억원을 지급하는 한편 피해로 인해 판매가 감소한 일대의 수산물 7억원어치를 구매하기로 약정했다. 피해자들에 대해서는 조속한 보상이 이뤄질 것이란 약속도 있었다.

최근 이같은 대기업들의 발빠른 움직임과 책임을 피하지 않고 사과와 보상을 약속하는 모습들은 지탄 받는 기업이 되지 않기 위한 행보로 해석되고 있다.

송덕진 자유경제원 실장은 “기업이미지 타격은 예전보다 더 큰 손실과 경영상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한번 악덕기업으로 지목되면 이미지 추락은 걷잡을 수 없다”고 밝혔다.

송 실장은 “사고가 발생했을 시 이를 방치했다간 쌓아놓은 이미지를 모두 잃어버리고 경영악화기업전반을 흔드는 큰 위기로 번질 수 있다”면서 “위기관리와 책임경영의 중요성이 더 강조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코오롱그룹은 지난해 정부의 사정칼날을 가까스로 피해갔다. 공정위와 국세청으로부터 이명박정부의 4대강 사업 담합혐의로 고강도 세무조사를 받기도 했다.

그런 코오롱에게 여론 악화와 더불어 국회 및 정부의 관심이 쏠리는 것은 피하고 싶은 일일 수 밖에 없다는 게 재계의 시각이다.

실제로 이번 사고가 터지자마자 가장 먼저 부각된 것은 마우나오션리조트를 운영하는 마우나오션개발의 지분 50%를 이동찬 코오롱 명예회장과 이웅열 코오롱 회장이 나눠 갖고 있다는 점이었다.

오너일가에 초점이 맞춰지자 코오롱그룹이 마오나오션개발 지분을 비싸게 매입하면서 오너 일가에게 부당이익을 안겨준 게 아니냐는 의혹까지 나왔다.

경찰의 사고원인 조사 과정에서 부실공사·계열사 일감몰아주기 등 각종 의혹들이 수면위로 떠올랐고 이번 사고 역시 안전 불감증이 빚어낸 예견된 ‘인재’라는 비난으로 이어졌다.

GS칼텍스 사례 역시 이와 크게 다르지 않다. 윤진숙 전 해수부장관의 “1차 피해자는 GS칼텍스이고 2차 피해자는 어민”이라는 발언이 국민정서를 자극했고 이는 곧 국회와 정부까지 움직였다. 윤 전 장관 경질은 곧바로 이어졌다.

이런 사정을 다 아는 GS칼텍스의 적극적인 보상과 사태수습 움직임에도 여수 시민단체들은 초기대응을 하지 않아 사태를 키웠다는 데 책임을 물어 대표이사를 검찰 고발했다. GS칼텍스를 규탄하는 거리집회와 불매운동까지 벌이고 있는 상황이다.

재계 관계자는 “요즘처럼 反대기업 정서가 팽배한 때 기업이미지 타격은 치명적”이라며 “정치권과 정부까지 나서게 되면 호미로 막을 걸 가래로도 못 막을 일이 된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전경련 회장단 입성을 고사하거나 경총 회장직이 공석으로 비어있는 것도 전면에 나서는 것을 부담스러워하는 대기업들의 심리가 일정부분 작용했을 것으로 분석했다.

최원영 기자 lucas201@

뉴스웨이 최원영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