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 서울 23℃

  • 인천 25℃

  • 백령 22℃

  • 춘천 24℃

  • 강릉 16℃

  • 청주 24℃

  • 수원 24℃

  • 안동 22℃

  • 울릉도 16℃

  • 독도 16℃

  • 대전 25℃

  • 전주 24℃

  • 광주 27℃

  • 목포 23℃

  • 여수 25℃

  • 대구 26℃

  • 울산 21℃

  • 창원 26℃

  • 부산 23℃

  • 제주 24℃

이슈플러스 올해 연간 소비자 물가 3.6% 상승···전기·가스 20%↑

이슈플러스 일반

올해 연간 소비자 물가 3.6% 상승···전기·가스 20%↑

등록 2023.12.29 11:37

김제영

  기자

올해 소비자물가가 3% 중반대로 고물가 흐름을 이어갔다. 올해 마지막 달 물가상승률은 3.2%로 전월(3.3%)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29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12월 및 연간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올해 소비자물가 지수는 111.59(2020년 기준 100)로 작년보다 3.6% 올랐다.

지난해(5.1%)보다 둔화했지만 2021년(2.5%)과 비교하면 높은 수준이다. 코로나 이전에는 2016∼2018년 연속 1%대, 2019년 0.4% 등이었다.

전기·가스·수도 물가는 전기료와 도시가스 등의 가격 인상으로 20.0% 뛰어 전체 물가를 견인했다. 관련 항목을 집계한 2010년 이후 13년 만에 최대 폭으로 상승했다.

농·축·수산물도 농산물(6.0%)과 수산물(5.4%)을 중심으로 3.1% 올랐다.

올해 하반기 들어 농산물 가격은 여름에는 폭염, 가을에는 이상저온 등의 영향으로 계속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10월과 11월(14.7%), 12월(15.7%)에는 석 달 연속 두 자릿수대로 올랐다.

지난해 20%대로 치솟았던 석유류 가격이 올해 11.1% 떨어진 것은 물가 하락 요인으로 작용했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작년보다 4.0% 상승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3.4% 올랐다.

체감물가로 여겨지는 생활물가지수 상승률은 3.9%를 기록했다. 이 지수는 2021년 3.2%, 지난해 6.0% 등 3년 연속 3% 이상을 나타냈다.

신선과실(9.7%) 등이 크게 올라 신선식품 지수는 전년보다 6.8% 뛰었다.

12월 물가는 작년 동월 대비 3.2% 올랐다.

농산물 가격이 15.7% 오르면서 농·축·수산물 물가는 7.7% 상승했다. 이달 농산물 물가 상승률은 2021년 4월(17.7%) 이후 가장 높았다.

올해 들어 월별 물가상승률은 1월 5.0%에서 계속 낮아져 6월(2.7%)과 7월(2.4%)에는 2%대를 나타냈다.

그러나 글로벌 유가가 다시 오르는 등의 영향으로 8월에 3.4%로 올라선 이후 9월 3.7%, 10월 3.8%, 11월 3.3%, 12월 3.2% 등 5개월 연속 3%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