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4월 28일 일요일

  • 서울 14℃

  • 인천 11℃

  • 백령 10℃

  • 춘천 11℃

  • 강릉 18℃

  • 청주 14℃

  • 수원 10℃

  • 안동 12℃

  • 울릉도 16℃

  • 독도 16℃

  • 대전 12℃

  • 전주 13℃

  • 광주 11℃

  • 목포 12℃

  • 여수 16℃

  • 대구 16℃

  • 울산 13℃

  • 창원 16℃

  • 부산 15℃

  • 제주 15℃

금융당국의 고민 “우리금융 지분 처분 계획 어쩌나”

금융당국의 고민 “우리금융 지분 처분 계획 어쩌나”

등록 2020.02.06 07:01

정백현

  기자

오는 2022년까지 잔여 지분 전량 처분 예정공적자금 회수 위한 적정 주가는 1만4000원우리금융 주가, 최근 겹악재에 1만원대 추락현 시점서 매각 강행 시 최대 5000억원 손해당국 “매각 계획 불변···시장 지켜볼 수밖에”

정부가 올해부터 오는 2022년까지 우리금융지주의 잔여 지분을 팔기로 공언했지만 우리금융지주의 주가가 좀처럼 오르지 못하고 있는데다 CEO 리스크 등 지배구조 불안 요소가 여전해 적잖은 속앓이를 하고 있다. 그동안 쏟아부은 공적자금을 지분 처분으로 회수해야 하지만 오히려 본전도 찾지 못할 상황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주가 흐름에 연연치 않고 약속한 시간까지 지분을 모두 처분하겠다는 정부의 입장은 여전하지만 미처 회수하지 못한 공적자금 규모나 최근 우리금융지주 안팎 동향, 향후 주가 흐름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한다면 우리금융 지분 처분 문제가 정부의 속을 꽤나 썩이는 모양새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현재 예금보험공사(예보) 명의로 보유하고 있는 우리금융지주의 지분 18.3%를 올해부터 오는 2022년까지 순차적으로 매각할 방침을 세우고 세부적인 지분 처분 방식을 검토하고 있다.

정부가 밝힌 우리금융 지분 처분 계획에 따르면 앞으로 3개년간 총 2~3회에 걸쳐 한 회차당 최대 10%씩 지분을 분산매각할 예정이다. 현재 예보가 보유한 우리금융 주식 수는 1억2460만여주에 달한다. 따라서 한 번에 쪼개 팔 수 있는 최대 물량은 약 1246만주 정도다.

그래픽=뉴스웨이DB그래픽=뉴스웨이DB

정부가 지분 전량을 쥔 예보는 지난 2014년까지 지주회사 전환 이전의 우리은행 지분 58%를 갖고 있었으나 민영화 계획의 일환으로 보유 지분 중 29.7%를 외부에 내놨고 과점주주들이 일정 부분씩 쪼개서 인수하면서 민영화의 첫 단추를 뀄다. 다만 단일 주주로는 여전히 예보가 최대주주다.

정부가 그동안 우리금융에 쏟아부은 공적자금은 총 12조8000억원이고 앞으로 회수해야 할 공적자금 원금 규모는 1조7000억원에 이른다.

금융당국은 현재의 추세대로 우리금융 지분 처분을 추진했다가는 자칫 본전도 제대로 못 찾을 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을 내비치고 있다.

우리금융의 현재 주가는 1만250원(5일 종가 기준)이다. 정부의 우리금융 지분 매각 계획이 발표됐던 지난해 6월의 주가는 이보다 4000원 정도 높았던 1만4000원대였다.

정부의 공적자금 원금 회수를 위한 우리금융 주가 마지노선은 1만3800원이다. 최소 이 금액 이상에서 처분이 이뤄져야 정부가 공적자금을 손해 보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우리금융 주가는 지난해 7월 말 마지막으로 1만4000원대에 머무른 이후 최근까지 줄곧 하락했다.

최근 금융감독원이 내린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 손실 관련 징계는 정부의 속을 더 새까맣게 태우고 있다. 손태승 우리금융 회장에 대해서는 문책경고 징계가 확정된 데다 주력 자회사인 우리은행은 6개월 일부 업무 정지 제재가 예고되는 등 악재가 겹쳤다.

가뜩이나 주가가 떨어진 상황에서 우리금융의 지배구조 불안 이슈가 해결되지 않는 이상 주가 반등은 기대하기 어렵다. 더구나 정부의 계산대로 손해 보지 않는 선에서 지분 처분이 이뤄지려면 현재 주가에서 최소 27% 이상 뛰어야 하지만 이마저도 쉽지 않아 보인다.

안팎의 상황이 매우 어둡지만 금융당국의 현재 입장은 과거와 달라진 것이 없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우리금융의 주가를 예의주시하고 있지만 주가에 개의치 않고 약속했던 매각 스케줄을 그대로 지키겠다는 원칙은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과거에도 우리금융 지분 매각이 좌초된 것은 매각 적정 주가를 맞추려다 타이밍을 놓쳤기 때문”이라며 “우리금융이 하루빨리 정부 그늘을 벗어나 완전한 민영 금융회사로 성장하길 바라지만 주가 상황을 감안한다면 마음이 편치는 않은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물론 변수는 있다. 우리금융 지배구조 이슈가 더 확대돼 시장 전체를 뒤흔든다면 정부가 일부 계획을 수정할 뜻이 없지는 않다. 우리금융 지분 매각 계획을 정한 공적자금관리위원회(공자위)도 시장 전체에 대한 급변 상황이 오면 공자위를 통해 매각 계획을 수정할 의향이 있다고 지난해 밝힌 바 있다.

다만 정부가 밝힌 ‘급변 상황’은 우리금융 지배구조 이슈 등 내부 상황이 아닌 해외발 금융위기나 대내외 정세 악화 등 외부 상황에 의한 시장 급변이어서 당장 금융당국이 매각 계획 수정에 나서기는 어려운 입장이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최근 우리금융 안팎의 상황이 어둡기에 공적자금 회수가 필요한 정부 입장에서도 상당히 곤혹스러울 것”이라며 “최악의 상황에서는 현재 제시한 매각 계획을 연기할 수도 있겠지만 책임론이 불거질 수 있다는 점이 문제”라고 분석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