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4월 27일 토요일

  • 서울 13℃

  • 인천 9℃

  • 백령 10℃

  • 춘천 9℃

  • 강릉 17℃

  • 청주 12℃

  • 수원 9℃

  • 안동 10℃

  • 울릉도 16℃

  • 독도 16℃

  • 대전 10℃

  • 전주 11℃

  • 광주 9℃

  • 목포 12℃

  • 여수 13℃

  • 대구 13℃

  • 울산 13℃

  • 창원 13℃

  • 부산 13℃

  • 제주 15℃

추락하는 건설株 날개까지 꺾일라

[10.24 가계부채 대책]추락하는 건설株 날개까지 꺾일라

등록 2017.10.24 13:52

수정 2017.10.24 14:04

서승범

  기자

8.2대책 이후 급락한 건설주에 추가 악재新DTI·DSR 도입, 중도금대출 한도 축소 골자주택 비중 높은 현대·GS·대림 3社 타격 예상

정부가 10.24 가계부채 대책을 발표함에 따라 건설주의 추가 하락이 점쳐지고 있다. 이렇다할 호재가 부재한 상황에서 이번 대책이 앞선 8.2대책과 더불어 주택시장 분위기 침체를 유도할 것으로 점쳐지기 때문이다.

정부는 24일 서울청사에서 관계부처 합동브리핑을 열고 중도금대출 보증한도·보증비율 축소, 신(新)DTI(총부채상환비율)·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도입 등의 내용이 담긴 ‘가계부채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건설·주택 업계에서 가장 우려하는 것은 신DTI와 DSR의 도입이다.

내년 1월부터 적용되는 ‘신(新)DTI’는 돈을 빌리는 사람(차주)이 보유한 부채를 포괄적으로 평가하는 게 핵심이다. 가령 주택담보대출을 2건 이상 보유한 사람의 경우 기존에는 신규 주담대 원리금과 기존 주담대 이자만을 따졌지만 앞으로는 주담대 2건의 원리금을 모두 반영하게 된다. 또 복수의 주담대(담보물건수 기준) 차주는 두 번째 주담대부터 만기제한을 도입한다. 차주의 소득을 파악하는 과정도 보다 깐깐해 진다.

DSR은 주담대를 포함한 모든 대출의 원리금을 합산하고 소득까지 예상해 대출을 심사하는 제도로 내년 하반기부터 시행된다. 정부는 DSR을 모든 금융권의 여신관리 지표로 정착시킬 계획을 세우고 있다.

한 마디로 내년부터는 올해보다 더 대출을 받기 어려워진다는 말이다. 대출을 받기가 어려워지면 우선 분양시장의 투기 수요가 빠지게 되고 일반 수요자들도 이전처럼 내집마련에 선뜻 나서기가 어려워진다. 공급은 그대로인 상태에서 수요가 줄어들면 주택 가격은 하락하고 이는 다시 매수 심리를 악화시켜 시장 침체를 더 부추기게 된다.

주택 시장 침체는 결국 분양시장에서 대부분의 실적을 올리고 있는 건설사들의 실적 악화로 이어질 것으로 우려돼 주가에도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짙다.

금융투자 전문가들은 국내 증시가 분위기에 따라 많이 좌지우지 되는 경향이 높은 만큼 주택시장에 대한 우려가 증시로까지 이어져 건설업종 투자를 기피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올해 완만한 상승세를 보였던 건설주는 정부의 8.2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주택시장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면서 큰 폭으로 하락했다.

8.2대책 발표 이후부터 23일까지 건설 맏형 현대건설의 주가는 4만5400원에서 4만50원으로 하락했고, 대우건설은 8140원에서 7010원으로 떨어졌다. 대림산업은 9만1700원에서 8만3500으로, GS건설은 3만1550원에서 2만7100원으로 하락했다.

중견건설사들도 주가하락을 피하지 못했다. KCC건설은 1만650원에서 8560원으로 하락했고, 태영건설은 9420원에서 8180원으로 떨어졌다. 성지건설·아이에스동서·서희건설 등의 주가도 큰 낙폭을 보였다.

업계 전문가들은 특히 이번 가계부채 종합대책이 현재 활발히 주택사업 영위하고 있는 현대건설·대림산업·GS건설 3사 주가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들은 특히나 주택사업 쏠림현상이 심한 데다 대형사인 탓에 매출액 규모도 중견·중소형 건설사와 비교해 앞도적으로 높아 시장 침체 시 받는 타격이 비교적 크기 때문이다.

올해 상반기 현대건설의 건축·주택부문 매출액은 총 매출액에 47.49%에 달하며, 대림산업도 건축부문의 매출액이 전체의 50.7%에 해당한다. GS건설은 56.8%로 상장한 대형건설사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