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 경영진과 자율주행 플랫폼 개발 현황 점검
보스턴다이내믹스 경영진과 로봇산업 의견 교환
16일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정의선 회장은 지난 13일 미국으로 출국해 보스턴에 위치한 자율주행 합작법인 모셔널 본사를 방문했다. 현대차그룹의 투자 발표 이후 정 회장이 모셔널을 찾은 것은 처음이다.
정 회장은 모셔널을 찾아 차세대 자율주행 플랫폼 개발 현황과 로보택시 추진 계획 등에 대해 설명을 듣고, 현지 임직원들과 사업 영역 고도화 및 시장 확대 방안에 대해 심도 깊이 논의했다.
모셔널은 현대차그룹과 미국 전장회사 앱티브가 5대5 비율로 지분 투자해 설립한 자율주행 연구개발(R&D) 합작법인이다. 정 회장은 모셔널이 개발 중인 차세대 자율주행 플랫폼을 적용한 아이오닉5를 직접 테스트하는 등 양사 간 협업 프로젝트도 점검했다.
정 회장은 또 모셔널의 자율주행 핵심 기술개발 역할을 맡고 있는 피츠버그 거점을 찾아 자율주행 차량 설계 및 개조 시설과 인프라를 점검하고 연구원들의 의견을 청취할 예정이다.
모셔널은 전기차 아이오닉5를 활용한 로보택시 상용화 서비스를 준비 중이다. 이를 위해 자율주행 플랫폼을 적용해 현재 미국 시험도로에서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 모셔널은 미 네바다주에서 업계 최초로 무인 자율주행 테스트 면허를 획득했다. 오는 2023년께 리프트(Lyft)와 함께 무인 자율주행차를 활용한 로보택시 서비스를 상용화한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모셔널은 피츠버그, 라스베이거스, 산타모니카, 싱가포르에 거점을 두고 있으며 서울에도 거점을 추가로 개소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서울 거점은 또 하나의 핵심 기술 허브이자 자율주행기술 테스트 역할을 맡게 된다”고 설명했다.
정 회장은 현대차가 인수를 진행하고 있는 보스턴다이내믹스 본사도 방문해 경영진과 로봇 산업의 미래와 트렌드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현장에서 정 회장은 양산형 4족 보행 로봇 ‘스팟’, 두 다리로 직립 보행하는 ‘아틀라스’ 등 보스턴다이내믹스의 상용화 모델을 체험했다.
현대차그룹의 보스턴다이내믹스 인수는 글로벌 로봇 시장이 기술 혁신과 자동화 로봇 수요로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된 데 따른 것이다. 현대차는 로보틱스를 핵심 미래 사업 분야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맞춰 정 회장은 그룹 내 자체 로봇 개발 역량을 높이고 자율주행차, 도심항공모빌리티(UAM) 및 스마트팩토리 기술과의 시너지를 모색하고 있다.
정 회장은 지난 3월 임직원 대상의 타운홀 미팅에서 “미래에는 로봇이 사람 곁에서 상시 도움을 주는 비서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생각한다”며 “로봇이 알아서 충전하고 스케줄 관리를 수행하는 동안 사람은 좀더 생산적인, 창의적인 일에 몰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정훈 기자 lennon@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