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4월 20일 토요일

  • 서울 15℃

  • 인천 16℃

  • 백령 15℃

  • 춘천 15℃

  • 강릉 12℃

  • 청주 15℃

  • 수원 15℃

  • 안동 16℃

  • 울릉도 15℃

  • 독도 15℃

  • 대전 13℃

  • 전주 14℃

  • 광주 17℃

  • 목포 17℃

  • 여수 15℃

  • 대구 16℃

  • 울산 15℃

  • 창원 16℃

  • 부산 14℃

  • 제주 17℃

검사에 장관까지···10대 건설 사외이사는 퇴직 고위관료 집합소

검사에 장관까지···10대 건설 사외이사는 퇴직 고위관료 집합소

등록 2017.03.09 10:49

수정 2017.03.09 11:02

이보미

,  

김성배

  기자

장관 등 고위직·권력기관 출신이 절반 육박GS건설은 권도엽 전 국토부 장관 등 이례적현대산업개발은 사외이사 전체가 고위직 출신독단경영 차단취지인데···방패 등 정경유착우려

권도엽 전 국토해양부 장관(맨 왼쪽) 최규연 전 조달청장(가운데) 김용덕 전 금융감독위원회 위원장권도엽 전 국토해양부 장관(맨 왼쪽) 최규연 전 조달청장(가운데) 김용덕 전 금융감독위원회 위원장

10대 건설사 중 정부 고위직 관료출신이거나 사정기관 등 정부기관의 요직을 지낸 거물급 사외이사가 전체의 절반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내이사가 아닌 만큼 견제나 감시 등으로 대주주와 경영진의 정횡을 막고 경영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도입된 사외이사제도의 당초 취지와 달리 정부 고위직 관료출신 사외이사가 반칙왕 오명을 달고 있는 건설업계에서 외풍에 대한 ‘바람막이’나 ‘방패막이’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특히 GS건설의 사외이사의 경우 이례적으로 건설부동산 주무부처인 국토해양부(현 국토교통부) 전 장관 출신 인사가 이름을 올리고 있어 전형적 권력형 사외이사가 아니냐는 의혹의 시선을 받고 있다.

9일 본지에서 국내 상위 10대 건설사 사외이사 현황을 분석한 결과 10대 건설사에서 현재 겸직 중인 사외이사 37명 중 16명인 43%가 정부 고위직 관료나 권력기관 출신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외이사’는 전문적인 지식이나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기업경영 전반에 걸쳐 폭넓은 조언과 전문지식을 구하기 위해 선임되는 인사다. 경영진이나 대주주와 관련이 없는 외부인사라는 의미다. ‘사외이사’를 통해 대주주의 독단경영과 전횡을 사전에 차단하려는 ‘사외이사 제도’의 기본 취지다. 이해관계가 얽혀있는 인사를 등용할 경우 사외이사 제도의 기본 취지인 ‘견제’ 역할을 기대하긴 어렵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하지만 사외이사제도의 본질과 달리 직간접적인 이해관계자를 임명해 독립성 면에서 적합하지 않다는 지적도 동시에 나온다. 건설업계도 이런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한 상황이다. 특히 고위 관직을 지낸 거물급 인사가 경영 투명성이 아닌 정경 유착의 고리를 강화하거나 주무부처 동향 파악 등 사실상 방패막이 역할을 하는 거 아니냐는 의혹의 시선이 나온다.

가장 대표적인 곳은 GS건설이다. GS건설은 건설부동산 주무부처 장관까지 지낸 권도엽 전 국토해양부(현 국토교통부) 장관을 사외이사로 영입했다. 지난해 3월 사외이사로 선임된 권 전 장관은 이명박 정부 시절인 2011년 5월부터 2013년 3월까지 1년 10개월동안 국토해양부(현 국토부) 장관으로 일했다. 장관으로 임명되기 전에는 건설교통부 국토정책국장과 건교부 차관, 한국도로공사 사장 등 굵직한 요직을 두루거친 업계 거목이다. 권 전 장관의 사외이사 연봉은 4000만원 안팎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행 법상 퇴직 공무원의 관련 분야 재취업 제한 기간을 3년으로 두고 있기 때문에 권 전 장관의 인사에 법적인 문제는 없다. 무엇보다 권 전 장관이 지난해 이사회에 20여차례 참여하면서 같은 이사회 멤버이자 사내이사인 허창수 GS건설 회장과 직접 마주 하면서 GS건설의 미래 플랜이나 건설업계 미래 큰 그림 등 건설부동산정책을 추진해 온 그만의 노하우를 담은 전문성을 갖춘 조언을 허창수 회장에게 여러차례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사에 장관까지···10대 건설 사외이사는 퇴직 고위관료 집합소 기사의 사진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가 국토부 고위 관료로 거물급이라는 점에서 경영투명성 보다는 정경 유착의 고리가 되는 게 아니냐는 의혹을 산다. 권력형 인사의 경우 기업에 유리한 정책입안에 영향을 미치는 데다, 사정기관이나 주무부처 동향 파악 등 사실상 방패막이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업계에선 보고 있다. 아울러 권 전 장관은 김앤장 법률삼무소에서도 상임이사 등으로 재직한 바 있다. 김앤장 법률사무소는 지난 2015년 8월 GS건설이 보유한 파르나스호텔 지분 68%를 계열사인 GS리테일에 매각하는 거래에서 법률자문을 제공한 바 있다. 권 전 장관의 사외이사직에 대한 배경에 진정성이 느껴지지 않는 대목이기도 하다. GS건설은 권도엽 전 장관 이외에도 진병화 전 재정경제부(현 기획재정부) 국장을 사외이사로 두고 있다.

현대산업개발은 사외이사 전체가 관이나 사정기관 등 권력형 고위직 출신들이다. 실제 최규연 전 조달청 청장을 비롯해 최명해 전 국세심판원장(현 조세심판원장), 김용덕 금융위원회 위원장 등 현재 사외이사로 재직 중인 인사 7명 모두 관료 요직 출신이다. 지난해 박성득 리인터내셔널 법률사무소 변화사를 재선임하고 김영기 세무법인 티앤피 대표를 새로 선임한 현대건설도 관료직 출신 인사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 박 변호사는 감사원 감사 의원, 김 대표는 국세청 조사국장을 지낸바 있다. 건설업계 1위인 삼성물산도 관료출신 사외이사 논란에서 예외가 아니다. 권재철 사외이사가 청와대 노동비서관과 고용노동부 한국고용정보원장을 지낸 바 있고 장달중 사외이사도 박근혜 대통령 직속 통일준비위원회 겸 외교부 정책 자문위원으로 정피아와 관피아 의혹을 받고 있다. 이외에도 SK건설의 경우 김병일 전 공정거래위원회 부위원장이 사외이사를 맡고 있는 등 바람막이 논란을 빚고 있다.

업계와 전문가들은 많은 기업들이 권력형 사외이사를 영입하는 이유를 두고 바람막이 활용 목적인 경우가 적지 않다고 보고 있다. 권력형 인사의 경우 기업에 유리한 정책입안에 영향을 미치는 데다, 사정기관이나 주무부처 동향 파악 등 사실상 방패막이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형적인 권력유착일 수 있다는 의미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해당 기업이 충분한 검토와 자문을 거쳐 걸정한 사안인 만큼 어떤 상황도 단정짓긴 어렵다. 그러나 고위 관직을 지낸 거물급 인사를 사외인사로 선임한 만큼 이같은 비판적인 시각에서 자유로울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