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3월 29일 금요일

  • 서울 10℃

  • 인천 10℃

  • 백령 8℃

  • 춘천 9℃

  • 강릉 13℃

  • 청주 12℃

  • 수원 10℃

  • 안동 15℃

  • 울릉도 14℃

  • 독도 14℃

  • 대전 13℃

  • 전주 13℃

  • 광주 14℃

  • 목포 13℃

  • 여수 15℃

  • 대구 19℃

  • 울산 19℃

  • 창원 17℃

  • 부산 17℃

  • 제주 13℃

우리은행 민영화 추진 6년 발자취

우리은행 민영화 추진 6년 발자취

등록 2015.07.21 13:27

수정 2015.07.21 14:37

박종준

  기자

2010년부터 매각 등 다섯 차례 민영화 시도

금융당국이 6년째 표류 중인 우리은행 민영화와 관련 과점주주 매각 방식을 병행키로 하면서 민영화 추진 역사가 재조명받고 있다.

우리은행 민영화는 예금보험공사가 최대주주로(51.04%) 이 중 콜옵션 행사 대비분 2.97%를 제외한 48.7%를 시장에 매각하는 것이다.

예보 지분은 지난 1998년 외환위기 때 정부가 당시 상업은행, 한일은행, 평화은행, 경남은행 등 부실 은행들을 한데 통합한 후 대규모의 공적자금을 투입했기 때문이다.

때문에 정부는 우리은행 민영화의 3대 원칙으로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를 핵심으로 조기 민영화와 금융산업 발전이라는 목표를 세워놓고 매각작업을 추진했다.

첫 번째 시도는 지난 2010년 11개 업체가 참여해 흥행에 성공하는 듯 보였다. 당시 ‘인수 1순위’로 꼽혔던 '우리금융 독자민영화 컨소시엄'이 예비입찰에 나오지 않으면서 무산됐다.

이어 이듬해 2011년 2차 매각 시도에서는 자회사와 함께 일괄 매각한다는 매각 방식을 변경했으나 금융지주사법이 ‘최대 변수’로 작용하면서 MBK파트너스만 인수의향서 제출했다. 이는 유효경쟁 원칙 때문에 결국 불발됐다.

2012년에는 당시 유력 후보였던 KB금융을 고려해 우리금융이 인수 기업에 합병되는 매각 방식을 채택했지만 이마저도 수포로 돌아갔다. 이때 매각이 무산된 이유는 정작 당사자인 KB금융이 노조 반대 등을 의식해 예비입찰에 참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어 2014년 우리금융의 자회사였던 경남은행과 광주은행, 우리파이낸셜, 우리투자증권 등을 분리매각하면서 매각 성사 가능성을 높였으나 결과는 이전과 같았다. 이때 역시 중국 안방보험만 입찰에 참여하는 바람에 또다시 매각이 물 건너가고 말았다.

올해 들어서 정부는 예보 보유지분을 과점주주에 분할 매각하는 방식으로 매각을 추진해왔다.

이 과정에서 우리은행 민영화를 추진했던 신제윤 전 금융위원장과 이순우 전 우리은행장이 물러난 이후 지난 5월 박상용 공자위원장과 우리은행 김승규 부사장 등이 영국 런던 등을 돌며 투자설명회(NDR)를 열고 인수 수요자 물색 작업을 펼치기도 했다.

하지만 3대 원칙에 딱 맞는 매수자를 찾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공적자금관리위원회(이하 공자위)는 21일 금융위원회에서 열린 제112차 회의에서 예금보험공사(이하 예보)로부터 ‘우리은행 민영화 추진방향’을 보고받고 예보 보유 51.04%를 최소 4%씩 나눠 동일한 지분을 보유한 복수의 주주들이 주주협의회를 통해 은행에 경영권을 행사할 수 있는 과점주주 매각 방식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우리은행 민영화 추진 6년 발자취 기사의 사진



박종준 기자 junpark@

뉴스웨이 박종준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