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3월 29일 금요일

  • 서울 11℃

  • 인천 11℃

  • 백령 7℃

  • 춘천 12℃

  • 강릉 13℃

  • 청주 12℃

  • 수원 10℃

  • 안동 16℃

  • 울릉도 13℃

  • 독도 13℃

  • 대전 12℃

  • 전주 13℃

  • 광주 13℃

  • 목포 13℃

  • 여수 15℃

  • 대구 18℃

  • 울산 19℃

  • 창원 17℃

  • 부산 16℃

  • 제주 13℃

가계대출 주택이 절반···"내집 마련 실현 불가능" 응답 늘어

가계대출 주택이 절반···"내집 마련 실현 불가능" 응답 늘어

등록 2013.02.25 13:45

수정 2013.02.26 09:17

최재영

  기자

그래프 : 한국은행그래프 : 한국은행


금융기관에 대출을 받고 있는 가구가 절반이 넘어섰다. 여전히 대출용도는 주택마련이 높았지만 생활자금도 적지 않아 현재 경기가 나빠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내 집 마련과 관련해 '실현 불가능하다'고 보는 사람들이 매년 늘고 있다.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2012년 가계금융·복지조사'결과에 따르면 가계대출 규모가 매년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자료는 통계청, 한국은행, 금융감독원이 최근 발표한 본조사와 별도로 한은이 단독으로 조사한 것이다. 작년 12월 통계청이 발표한 조사와 별도지만 가계부채와 관련해서는 같은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다. 다만 매년 항목별 조사가 다르다. 작년에는 금리가 중심이었다면 올해는 '가계 재무건전성'이 핵심이다.

작년 금융기관에 대출을 한 가구는 전체 57.1%를 차지했다. 전년 조사(54.0%)보다 3% 포인트 늘었다. 대출 주요 용도는 '거주주택 마련'이 34.3%로 가장 많았다. 이어 생활자금이 25.4%, 전월세보증금 12.6%, 사업자금 12.2%로 나타났다.

작년 중 은행에 신규대출이나 만기연장대출을 신청한 가구는 전체 가구의 30.0%로 조사됐다. 신규와 만기연장 대출 용도로 생활자금이 32.4%로 가장 많았고 거주주택 마련(19.2%), 기존대출금 상환(15.2%), 사업자금(13.7%) 순이었다.

은행 신규대출과 만기연장대출 신청가구 가운데 23%는 대출 신청액 중 일부만 받았고 2.4%는 대출을 받지 못했다. 은행에서 원하는 만큼 대출을 받지 못하는 이유로는 '낮은 소득수준'(35.7%)이 가장 많았고 담보부족(33.7%), 신용상태(17.3%)로 응답했다. 부족한 자금은 비은행 등 금융기관(45.4%), 지인(25.5%)을 통해 융통한다고 응답했지만 29.1%는 대출을 포기했다고 밝혔다.

가계재무건전성은 매년 좋아지고 있는 편이다. 작년 중 대출금 원리금 상환액이 가계 총수입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과대부채 가구는 13.1%로 전체 가구의 7.7%를 차지했다. 2009년 조사에는 14.5%, 2010년 조사에서는 17.6%로 3년 동안 부채가구수가 줄었다.

◇원리금 상환 연체경험 크게 늘어
부채보유 가구 중 작년 동안 원리금 상환시 연체 경험이 있는 가구는 18.0%로 조사됐다. 이 중 4회 이상 연체가구는 4.7%나 됐다. 연체요인으로는 '소득감소'(34.3%)가 가장 많았고 '생활비 증가'(23.8%), '원리금 상환 부담'(21.0%), 자금융통 차질(9.9%), 납부기일 착오(9.5%) 순이다. 특히 작년 중 부채보유가구의 58.9%는 원리금 상환에 어려움이 있다고 응답했다.

이런 부채보유가구 중 향후 원리금 상환에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가구는 62.3%에 달했다. 가계부채 상환계획으로는 '소득 상환'(68.3%), 부동산 및 기타자산 처분'(12.5%), '주거 변경'(7.0%), '금융자산처분 및 퇴직연금정산'(5.0%), '신규차입'(2.8%) 순으로 조사됐다. 여전히 월급외에는 뾰족한 답이 없다는 것이 응답자의 결론이다.

응답자들은 가계부채와 관련해 가장 우려하는 사항으로 경기침체(31.4%)를 꼽았다. 이어 부동산가격 하락(22.2%), 고용문제(22.0%), 금리상승(13.9%), 주식가격 하락(3.1%) 순이다.

◇"내 집 마련 실현 불가능하다" 응답자 절반 넘어
지난 1년 동안 주택 등 부동산 가격이 내렸다고 응답하는 가구는 34.7%로 나타났다. 반면 올랐다고 응답한 가구는 24.4%로 10.3% 포인트 상회했다.

1년후 부동산 가격이 현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한 가구는 절반 이상(54.0%) 차지했고 하락전망(28.1%)이 상승전망(17.9%)보다 우세했다. 5년 후 부동산 가격을 묻는 질문에 38.1%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고 하락할 것이라고 예상한 가구도 26.2%나 됐다.

10년 이내에 내 집 마련이 가능하다고 응답한 비중은 53.1%로 전년(52.5%)과 비슷한 수준이지만 '내 집 마련이 불가능 할 것'이라고 응답한 가구는 작년(29.0%)보다 3.2% 포인트 증가한 33.0%를 차지했다.

올해 조사에서는 내 집 마련 실현이 불가능 하다고 응답한 가구는 33.0%로 가장 많았다. 이어 5년이내에 집을 마련할 수 있다는 응답자는 26.9%, 10년이내(26.2%), 15년 이내(7.7%), 20년 이내(3.9%), 30년이내(2.4%)로 조사됐다.

◇정부 물가안정에 최선 다해주길
정부가 경제정책을 추진하면서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할 사항으로 '물가 안정과 부동산 가격안정'이 41.9%로 가장 많았고 경제성장(29.5%), 고용확대(19.2%), 소득분배(9.4%)로 나타났다. 전년과 비교해서는 경제성장이 8.1% 포인트 증가했지만 물가와 부동산 가격안정은 9.6% 포인트 감소했다.

가계가 겪고 이는 가장 큰 어려움으로는 물가상승이 30.7%로 가장 많았고 이어 경기침체(19.9%), 소득감소(19.2%), 고용불안(8.2%), 부동산가격 하락(5.5%) 순으로 조사됐다. 전년도와 비교했을 때 금리하락, 소득감소, 경기침체, 고용불안 등의 비중은 다소 커진 반면 부동산, 금리, 물가 등의 가격변수에 대한 비중은 소폭 감소했다.

이번 조사는 작년 1월1일부터 11월30일까지 전국 2만여개 표본가구를 대상으로 한 본조사 중 표본가구 2119개에 대해 설문조사 방식으로 진행됐다. 은행대출여부, 원리금 상환, 연체현황, 부동산, 가구 경제적 애로사항, 정책당국 정책 우선순위 등 21개 문항을 설문조사 방식으로 진행했다.


최재영 기자 sometimes@

뉴스웨이 최재영 기자

ad

댓글